1 분 소요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옴넷을 설치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리눅스에 뭔가를 설치하는 것이 다 그렇듯이..
가끔가다가 업데이트 등으로 꼬이면 그때부터 으아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지만..

Ubuntu 10.04LTS, Ubuntu 11.04
그리고 32/64bit 모두 아래 방법으로 설치된다.

1. 빌드에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 주자(이미 깔려있는 경우라면 패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gcc
$sudo apt-get install g++
$sudo apt-get install bison
$sudo apt-get install flex
$sudo apt-get install perl
$sudo apt-get install tcl-dev
$sudo apt-get install tk-dev
$sudo apt-get install blt
$sudo apt-get install libxml2-dev
$sudo apt-get install zlib1g-dev          //숫자 1을 알파벳 L로 혼동하지 말자 ㅜㅜㅜㅜ...
$sudo apt-get install openjdk-6-jre
$sudo apt-get install doxygen
$sudo apt-get install graphviz
$sudo apt-get install openmpi-bin
$sudo apt-get install libopenmpi-dev
$sudo apt-get install libpcap-dev

이거 하나하나 치기 귀찮다면 그냥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gcc g++ bison flex perl tcl-dev tk-dev blt libxml2-dev zlib1g-dev openjdk-6-jre doxygen graphviz openmpi-bin libopenmpi-dev libpcap-dev

이라고 무지막지하게 다 이어서 써도 되지만 오타나면 짜증이 이만 저만이 아님 ㅋㅋ

상당수는... 이미 컴퓨터에 깔려있을 확률이 높다.. 
리눅스로 조금이라도 전에 개발을 진행했었다면..


2. 다운받자
http://omnetpp.org/ 에 들어가서 omnetpp-4.2.2-src.tgz 를 다운받고
/home/내아이디 폴더에 복사해주자.
다른 폴더여도 상관은 없지만 그냥 편의상 여기.

$tar zxvf omnetpp-4.2.2-src.tgz
로 압축을 풀어주면 omnetpp-4.2.2 라는 폴더가 생긴다.

$cd omnetpp-4.2.2 
로 생성된 폴더 안으로 들어가자.



3. 환경 변수 설정
$export PATH=$PATH:$HOME/omnetpp-4.2.2/bin
$export LD_LIBRARY_PATH=$LD_LIBRARY_PATH:$HOME/omnetpp-4.2.2/lib



4. 빌드하자
omnetpp-4.2.2 폴더 안에서!
$./configure
$make

이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성공.







5. 샘플을 실행시켜보자
$cd samples/dyna
$./dyna

옴넷이 뜬다면 성공!

6. OMNET 시뮬레이터 켜기
$omnetpp





요런 로딩화면이 뜬다.. 이쁘다 ㅜㅜ
옴넷을 켜보면 드는 생각............................아니 이건 이클립스가 아닌가!!!!!!


세세한 다른 옵션들도 있지만, 일단은 간단 설치를 위해 생략했다.
더 자세한 설치를 원하면 공식 홈페이지에 가면 매뉴얼이 있다.
물론 영어고, 위에 적은 기본 설치 말고도 여러 옵션들이 있다.
나같은 일반 사용자라면 위 설치만으로도 충분하다.

여튼.. 이제 이걸로 끄적끄적해봐야겠다...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