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VN Server 설치 및 설정하기
그때뿐이고 다시 하라고 그러면 또 구글링해서 하고 귀찮아서 그냥 내 블로그에
따로 저장을 해둔다.
오늘도 교수님이 SVN 하나 더 만들라고 해서 ㅜㅜ.....................
여튼,
SVN이란?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툴이다.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되어있는데,
서버는 Repository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코드를 읽고 쓰는 등의 요청을 한다.
SVN에는 여러 프로토콜로 접근을 할 수가 있는데, 우린 svn:// 을 쓸거당..
SVN 서버 프로토콜을 이용한 접근이다.
여튼,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설치부터 해야지..?
1. 설치하기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아 편하다
ㅋㅋ
2. Repository 생성하기
$svnadmin create ~/svn/repos/project
나는 그냥 저 폴더에 만든것일뿐.. 아무 폴더 만든다음에 이렇게 치면
여러 폴더 및 파일들이 저 안에 생긴다.
/conf /db format /hooks /locks README.txt
이렇게 생기는군. 음.
3. 설정하기
conf 폴더 안에 가면 설정파일이 세개 있다..
1) svnserve.conf 를 열어서,
주석처리된거 몇개 풀어주고 .. 알아서 설정하자.. 내가 하는 설정은
anon-access=none 으로해놓는것 정도 밖에 없당..
password-db 관련한 주석 풀어주는것 잊지말자.
2) passwd를 열어서,
사용자와 비번을 추가해준다.
jazzineer=jazzineerpasswd
이런식으로 아이디=비번 해주면 된다.
3) authz 에선 뭐 할거 없는듯..
나는 걍 디펄트로 쓰련다.
4. 서버 켜기
svnserve -d -r ~/svn/repos/
일케 해주면 끝
끝낼때는 killall svnserve
*5.추가로, trunk, branches, tag 만들기는 그냥 새폴더 생성으로 하면 된다.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trunk
이런식으로 만들어도 되고 그냥 가서 만들어도 되고 클라이언트가 접속해서 만들어도 되고 내 맘대로..
접속은 클라이언트에서
svn://123.123.123.123/project 이런 식으로 해주면 된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