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개발환경

설계 어플리케이션 요약

사용자가 지도상의 원하는 위치에 임의의 메모를 남길수 있다.
이 메모는 웹서버에서 저장 관리 하며, 사용자 끼리 공유 할수 있다.



또한 AR MODE에서 메모를 확인할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단말기를 아래 그림처럼 세우게 되면 자동으로 AR MODE로 화면이 전환된다.
AR MODE에서는 실제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본인이 메모를 남겼던 실제 구조물 위에 메모가 맵핑 되어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동작

임의의 위치에 원하는 메모를 만들 수 있다.





단말기를 세우게 되면 다음과 같은 AR MODE로 넘어가게 된다.


실제로 학교의 우주센터 위치에 메모가 떠있고 학교 운동장 위치에 운동장 메모가 떠있음을 확인할수 있다.
AR MODE에서도 메모에 대한 Details을 확인 할수 있으며, 수정공유 삭제 할수 있다.


* MAP MODE는 구글의 오픈 MAP API를 사용 하였다.
* AR MODE는 WIKITUDE 의 OPEN AR API를 사용 하였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모든 메모는 웹서버에서 관리된다.


데이터를 웹서버에서 관리하게 한 목적은 원래
본 어플리케이션에 SNS 기능을 넣고자 했기 때문이다.

하나의 서버에서 사용자 정보들과 데이터들을 관리해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계획단계에서 그쳤다.

서버 구성은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단말기에서 서로의 데이터를 공유 하는데까지는 가능하다.


----------------------------------------------------------------------------------------
대학교 3학년인 2010년에 설계 했었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본인이 지도 위에 마음것 정보를 올리고 공유하고
또, AR모드를 이용해 보다 현실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취지로 설계해보았었다.

당시, 오브제나 다음지도 등등 정보를 지도나 AR부터 제공 받을수 있는 프로그램들은 있었지만,
본인이 포스팅한 정보를 지도나 AR 상에 생성하여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없었다.

역시나 광고에 쓰면 제일 좋을거 같은 어플리케이션이다. 혹은 위치 일기따위를 쓰고 싶으면 사용해도 좋을듯...
부가기능을 넣어 위치 스케줄러 등으로 활용해 보아도 좋을거 같다.
 ----------------------------------------------------------------------------------------


나름대로 단말기에 내장된 여러가지 센서들도 사용해보고,
기본적이었지만 웹서버 설계, 그리고 AR 모듈의 사용법 등을 익힐 수 있어서
재밌었다.
또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감을 잡을 수 있었다.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